2025년 기회발전특구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본격 가동
특구 내 투자기업의 안정적 인력 공급을 위해 특구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
2025년 기회발전특구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본격 가동
이브필라테스W건대3호점 | fmebsnews
특구 내 투자기업의 안정적 인력 공급을 위해 특구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
산업통상자원부(장관 안덕근, 이하 산업부)는 3.11(화), ‘2025년 기회발전특구 인력양성사업’ 지원대상을 선정하였다고 밝혔다.
본 사업은 기회발전특구 내 투자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금년부터 시행하는 사업으로, 특구 기업의 재직자 및 신규 취업 인력을 대상으로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지자체가 지역대학 등과 연계하여 설계하고 운영한다.
금년에는 지금까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48개 지구 중 19개 지구가 신청하여 이중 13개 지구를 최종 선정했으며, 사업비 52.5억원(국비 35억원(66.6%), 지방비 17.5억원)을 투입하여 2,500여명의 특구형 지역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.
선정지역(분야) : 대구(디지털, 첨단제조), 경북(바이오산업), 전북(모빌리티), 전남(이차전지), 경남(미래모빌리티), 울산(차세대이차전지, 주력산업첨단화), 강원(바이오ㆍ데이터 등), 세종(기술혁신), 부산(금융), 광주(모빌리티, AI)
이번 인력양성 프로그램에는 89개 기회발전특구 기업이 참여하게 되며, 제조산업 AIㆍ데이터 분석, 자율자동차 부품 설계 최적화, 미래 모빌리티 전환 부품 기술교육 등 특화 프로그램이 운영될 계획이다.
2025년 기회발전특구 수요맞춤형사업 선정지역 : 10개 시도, 13개 기회발전특구
지역명  | 특구명  | 지원예산 (백만원)  | 교육수요(안) (명)  | |
국비  | 재직자  | 신규인력  | ||
대구 (수성구, 달성군)  | 디지털특구  | 160  | 60  | 40  | 
첨단제조특구  | 340  | 140  | 60  | |
경북 (안동시)  | 안동지구(바이오산업)  | 500  | 350  | 50  | 
전북 (김제시)  | 모빌리티지구  | 240  | 140  | 60  | 
전남 (여수, 순천, 광양)  | 이차전지지구  | 400  | 150  | 50  | 
경남 (창원시)  | 창원지구(미래모빌리티)  | 300  | 60  | 130  | 
울산 (북구, 남구, 울주군)  | 차세대이차전지 지구  | 220  | 220  | 200  | 
주력산업 첨단화 지구  | 130  | 300  | 20  | |
강원 (홍천군)  | 디지털헬스케어 바이오 데이터산업지구  | 170  | 75  | 20  | 
세종 (집현동)  | 기술혁신지구  | 200  | 70  | 30  | 
부산 (남구)  | 금융지구  | 266  | 50  | 70  | 
광주 (광산구, 북구)  | 모빌리티지구  | 128.4  | 52  | 60  | 
AI지구  | 85.6  | 25  | 25  | |
   |    | 3,140  | 1,692  | 815  | 
제조산업 AI 및 데이터 분석(대구), 바이오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(경북), 자율자동차 부품 설계 최적화(광주), 정유석유화학설비 안전 및 위험성 평가(울산), 배터리소재 분석(전남), 자동차 엔진 전자제어 및 통신(경남), 특장차 생산설비 보전 및 유지관리(전북), 디지털금융서비스 기획 등(부산)
오승철 산업기반실장은 “기회발전특구 지방투자 기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투자 지역에서의 안정적 인력 공급이 최우선이다”고 언급하며, “기회발전특구가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기회발전특구 내 인력 확보 및 지역인재 역량 강화 등 애로사항을 해소하고, 앞으로도 필요한 사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”고 밝혔다. 
fmebsnews
<저작권자 © 이브필라테스W건대3호점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
		
	
	
			
				





